고사 성어

여행과 방랑으로 지친 모습을 형용하는 고사성어 상가지구

박남량 narciso 2008. 5. 6. 08:11

 


여행과 방랑으로 지친 모습을 형용하는
고사성어 상가지구(
喪家之狗)



 

                   공자의 편력과 방랑으로 지친 모습을
                   이야기한 대목에서 유래된 말이다.

                   춘추시대 말기
                   노나라의 대사구로서 재상의 직무를 
                   대행하고 있던 공자는
                   국정개혁에 실패하여 실각한 다음
                   제자들을 데리고
                   여러 나라 편력의 여행을 하였다.
                   공자가 편력의 여행을 시작했을 무렵에
                   위나라에서 조나라와 송나라를 거쳐
                   정나라에 갔을 때의 일이다.

                   정나라에서의 에피소드로서
                   공자세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공자께서 정나라에 가셨을 때
                   제자들과 서로 헤어졌다.
                   공자께서 홀로 곽동문에 서셨다.
                   정나라 사람이 제자 자공에게 일러 말했다.
                   동문에 사람이 있는데
                   그 이마는 요와 같고 그 목은 고요와 같고
                   그 어깨는 자산과 같다.
                   그러나 허리 아래로는 우에 미치지 못하기를
                   세 치, 그 지친 모습은 상가의 개와 같다 하였다.

                   자공이 들은 대로 공자에게 고하자
                   공자께서는 기뻐하시면서 웃으며 말했다.
                   모습의 형용은 그 훌륭한 사람들에게
                   미치지 못하지만 상가집의 개와 같다는 말은
                   과연 그러했을 것이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상가지구(喪家之狗
)이다.

                   상가지구(喪家之狗
)란 상가집의 개란 뜻이며
                   집을 잃어 버린 개의 뜻이다.
                   여행과 방랑으로 지친 모습을 형용하는데
                   어느 것이나 비유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