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성덕대왕과 에밀레종

박남량 narciso 2006. 8. 2. 10:13

 

성덕대왕과 에밀레종


                          

                           신라 혜공왕은
                           아버지 경덕왕의 사업을 이어
                           성덕왕의 업적을 기리며
                           명복을 빌기 위하여
                           큰 범종을 완성하기로 했다.

                           왕명을 받은 신하들은 
                           틀을 만들어 그림을 새기게 하고
                           한편으로는 전국 방방곡곡으로부터
                           종에 필요한 쇠붙이들을 모아들였다.

                           준비가 다 된 다음 날을 택하여
                           쇳물을 부었으나 종에 금이 가고
                           깨어진 소리만 날 뿐이었다. 

                           모두 낙심하여 풀이 죽어있는데 
                           나라 일을 점치는 점장이가 와서 말했다.

                           신종을 완성하려면
                           사람의 희생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속세의 물욕과 때가 묻지 않은
                           천진난만한 어린 아이를 쇳물 속에 넣어서
                           종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어느 누가 귀한 자식을 바치겠는가.
                           참으로 난감한 일이었다.
                           이때 한 늙은 스님이 나서서 말했다.

                          「작년 겨울 일입니다.
                           종에 사용될 쇠붙이를 시주받기 위해
                           어느 마을로 들어갔을 때 아주 가난한
                           오막살이 집이 하나 있었습니다.
                           쇠붙이 시주를 청했더니
                           우리 집은 가난하여 쇠로 만든 재산이라고는 
                           이것뿐이라며 아기를 들고는 어르면서
                           이거라도 받아간다면 드리지요 하였습니다」

                           신하들과 스님들은 그 말을 받아들여
                           가난한 집에 가서 아기를 빼앗아 왔다.

                           어머니는 농담으로 한 말이라 하면서
                           한사코 아기를 내놓으려 하지 않았으나
                           임금의 신하들은 부처님을 속일 수 없다며
                           아이를 강제로 빼앗아다가
                           끓는 쇳물 속에 집어 넣었다.

                           아름답게 그림을 새긴 종 틀에
                           쇳물이 부어지자 이상하게도 종에
                           금간 데가 없고 구멍이 뚫어진 데도 없이
                           훌륭한 신종이 만들어졌다.

                           신종을 봉덕사의 종각에 달고 종을 쳤더니
                           부드럽고 은은하게 맑은 소리가
                           서라벌 장안으로 울려 펴졌다.

                           울려 퍼지는 맑은 소리에 섞여 
                           「에밀레∼」 하는
                           애처로운 아기 울음 소리가 들려왔다.
                           어미를 찾는 어린 딸의 애절한 소리 같았다.

                           경주박물관에 있는 에밀레종이라고 하는
                           성덕대왕 신종에 얽힌 이야기이다.

                           봉덕사의 종이라고도 불리는 에밀레종은

                           국내 범종들 가운데 소리가 으뜸이다. 
                           그런데 정말 종 속에 아이를 넣었을까?

                           에밀레종을 수호하는 석천 스님이 나타나
                           「아미리가 에밀레야」라고 말하였다.
                           다시 스님을 불러 종을 만들 때
                           아이를 넣었느냐고 물으니
                           작은 종이조각을 보여주는데
                           거기에는 이런 글귀가 적혀있었다.

                       阿彌利國爲天
(아미리국위천)

                           아미리는 극락세계를 가리키는
                           고대 산스크리트어로서
                           아미리는 하늘이다 라는 뜻이다.

                           종이 깨지고 제소리를 내지 못한 것은
                           물론 만드는 기술이 모자란 탓도 있었으나
                           그보다 하늘의 도움이 모자랐던 것이다
                           사람의 힘만 가지고는 훌륭한 종을
                           만들 수 없음을 깨닫고 생명을 집어넣는
                           희생주술을 치르기로 하였다. 
                           갓난아이를 수소문하여 종에 넣기로 했다.
                           그러나 경건하게 울릴 종을 만드는 데
                           인간의 생명의 희생을 치러야 한다는
                           고유신앙과 살생하면 안 된다는
                           불교신앙이 서로 대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불살생의 법도를 깰 수는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아이를 넣었다고
                           거짓 소문을 냈다. 그리고
                           종의 이름을 아미리종이라고 불렀다.
                           사후에 극락세계로
                           가게 해주는 종이라는 뜻이다.
                           사람들은 아이가 희생된 것으로 믿었고
                           아미리종을 에밀레종이라고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