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생육신의 곧은 절개

박남량 narciso 2006. 7. 20. 09:15

 

생육신의 굳은 절개



                            수양대군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지조 있는 선비들은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초야에 묻혀 숨어 사는 사람들이 많았다.

                            율정(栗亭) 권절(權節)은
                            문무를 다 갖춘 인물이다.
                            수양은 남달리 재질이 뛰어난 권절을
                            자기편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번 설득을 하고
                            또 찾아갔으나 끝내 나오지 않았다.

                            관란(觀瀾) 원호(元昊)는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신병으로
                            벼슬자리를 사직하고 본관인 원주로
                            돌아가 세상을 등졌다.
                            단종이 영월로 쫓겨나자 영월 서쪽에
                            집을 짓고 조석으로 단종이 있는 곳을
                            향하여 울며 일편단심 불태웠다.
                            원호선생은 초막에서 단종이 계신 곳을
                            우러러 바라보며 눈물로 세월을 보내면서
                            자신의 심정을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강물도 한스러워 목메어 못 흐르고
                            갈때꽃 단풍잎엔 찬 바람 불어 오네
                            알겠노라 여기는 장사 땅 언덕인데
                            임의 혼령 어디갔나 달빛만이 밝게 비치네.


                            단종이 죽임을 당하자 그는 상복을 입고
                            3 년 동안 단종 임금을 애도하며
                            조석으로 통곡하다가 다시 원주의 옛집으로
                            돌아와 문밖 출입을 하지 아니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찾으니
                            깊은 산속으로 숨어 들어 일생을 마쳤다.

                            자는 백순(伯淳)이며 호가 경은(耕隱)인
                            이맹전(李孟專)은
                            거창현감으로 있을 때 수양이 단군을
                            죽였다는 소식을 듣고 벼슬을 내 던지고
                            고향 선산으로 돌아와 오로지 책만 대할 뿐
                            문을 닫고 외부와의 접촉을 끊었다.
                            오직 김숙자와는 서로 터놓고 지냈으나
                            말년에는 김숙자의 아들 김종직 한 사람만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한다.
                            조정에서는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고
                            대궐 쪽으로 향하여는 앉기조차 하지 않았다.
                            금오산 아래 묻혀 산 이맹전은 후학들에게
                            불의와 싸워 올바른 정치를 해 달라고 종용했다.

                            조상치(曺尙治) 또한 세상을 등지고
                            방랑생활로 일생을 마친 사람이다.
                            부제학의 벼슬을 내놓고 영천 마단으로 내려와
                            단종이 있는 영월쪽을 향하여
                            아침저녁으로 절을 올리며 슬퍼하였다. 
                            조상치는 일생 동안 서쪽을 향해서는 앉지도
                            않았으며 비문을 새겨놓고 자기가 죽은 후
                            무덤에 세워 달라고 유언하였다.

                           魯山朝 副提學 逋人 曺尙治之墓
                       노산조 부제학 포인 조상치지묘

                            여기에 담긴 뜻을 풀어보면
                            노산조라는 말은 세조의 신하가 아님을
                            은근히 뜻하고 있으며
                            품계를 쓰지 않음은 임금을 구하지 못한
                            죄인임을 자처하고 있으며
                            부제학의 관직에 있었다는 사실을 기술하고
                            포인이란 망명하여 도망한 신하라는 뜻이다.

                            성담수(成聃壽)의 자는 이수(耳壽)요
                            호는 문두(文斗)이며 본관은 창녕이다.
                            성담수 역시 아버지 성희가 성삼문에 연좌되니
                            어버이 무덤 밑에 살면서 서울에 오지 않았다.
                            「지금 이러한 세상에 자신의 부귀영화만을
                            위해 벼슬을 한다는 것은 아버지나 선조에
                            대해 면목이 없고 가문을 욕되게 한다」
                            하면서 그런 더러운 벼슬은 받지 말라고
                            만나는 이에게 충고하는 절개를 지켰다.

                            함안의 조려(趙旅) 역시 세조의 신하가
                            되지 않으려 과거에 응하지 않고 세조의
                            찬탈에 반대하여 세상을 등지고 초야에 묻혀
                            단종에 대한 일편단심을 안은 채 지조를 지켰다.
                            그리고 김시습, 남효온 등 무명의 선비들도
                            그 방법이야 다르지만 지조를 지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