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단종과 사육신의 충절 그리고 육신애상가

박남량 narciso 2006. 7. 19. 04:52

 

단종과 사육신의 충절 그리고 육신애상가



                   「이놈, 성삼문! 너는 어찌하여
                   역모를 꾀하여 나를 없애려 하였느냐.
                   그래도 할 말이 있느냐」
                   「그 사실을 어떻게 아시었소」
                   성삼문의 꿋꿋한 자세를 보자
                   세조는 노기가 등등하여 김질을
                   불러 오도록 하여 대질 심문을 하였다.
                   「김질 이놈! 너도 글깨나 읽었다는 선비
                   놈이 영화만을 노려 친구를 배신하느냐」
                   김질을 꾸짖고 성삼문은 세조를 쏘아 보았다.
                   「당신네들이 말하는 역모를 한 것은 사실이오」
                   「신하된 자 자기의 임금을 다시 세우려
                   하는 것은 충성된 일이거늘 역모라니」
                   단종이 선위하던 날 옥세를 세조에게
                   가져다 준 승지 성삼문이었다.

                   박팽년, 하위지, 유응부, 유성원, 이개 등도
                   세조의  갖은 극형을 당하였다.
                   세조는 박팽년의 재능을 사랑하여
                   한명회에게 잘못을 뇌우치면 살려 주겠다고
                   귀뜸을 주어 회유를 하였지만
                   세조를 진사라고 부르며 상왕을 내세우는 것이
                   어찌 역모냐고 반문했다.
                   「박팽년! 그 동안 나를 칭송하고 녹까지
                   받은 놈이 이제와서 진사라고 부르고
                   상왕을 내세우려 하니 이치에 맞는 말이냐」
                   「나는 진사에게 칭송한 일이 없소이다」
                   「내가 충청감사로 있을 때 올린 장계가 있을
                   것이니 가져다 확인해 보시오.
                   신()자 대신 거()자를 썼음을 알 것이외다」
                   이 말을 들은 세조는 이성을 잃었다.
                   성삼문, 박팽년의 기개를 굴복시키지 못하였다.
                   계속해서 이개와 하위지에게도 혹형을 가했으나
                   끝내 세조에게 굴복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유응부가 끌려 나왔다.
                   유응부는 세조의 말을 들은 척도 하지 않고
                   성삼문과 박팽년의 모습을 보며
                   「성삼문, 박팽년 이게 무슨 꼴인가」
                   유응부의 빛나는 두 눈을 보자
                   성삼문과 박팽년은 고개를 푹 떨군다.
                   「영감, 면목이 없습니다. 
                   김질이란 놈이 밀고를 하였습니다」
                   세조가 묻는 말에는 대꾸도 하지 않고
                   딴청을 부리자 세조가 노하여 다시 물으니
                   유응부는 비로소 세조를 바라본다.
                   그러나 유응부의 눈에는 임금이 아닌
                   수양대군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유응부의 태도는 당당하여 세조와
                   아들 도원군을 죽이지 못한 것을 
                   천추의 한이라며 고함을 쳤다.

                   세조에게 호통을 치며 성삼문 등을 향해
                   「예로부터 글이나 읽고 주둥이나 놀리는
                   서생하고는 큰일을 도모하지 말라 하더니
                   과연 네놈들이 큰일을 그르쳤구나.
                   너희들 죽는 거냐 아까울 리 없겠지만
                   상왕 전하 뒷 일을 생각하니 일을 성사
                   못한 것이 분하고 원통하구나」
                   세조가 유응부에게 가장 심한 형벌로
                   살가죽을 벗기며 단근질을 하자
                   「수양, 나는 이제 말을 다했으니
                   더 묻지 말고 저 서생들에게 물어보시오.
                   나는 이제 더 이상 말하지 않고 죽겠소」
                   고금에 찾아볼 수 없는 혹독한 형벌이
                   가해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은 유성원은
                   스스로 목숨을 끊어 그의 충성을 바쳤다.

                   이로써 단종을 다시 내세운다는
                   님 향한 일편단심은
                   결국 사육신의 죽음으로 끝나고
                   단종도 노산군으로 영월로 쫒겨났다.

                   육신애상가(六臣哀傷歌)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고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잡혀 죽은 사육신들이 그들의
                   충성을 읊은 시조이다.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하리라

                     (성삼문)

                   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 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박팽년)

                   창 안에 켰는 촛불 눌과 이별하였관대
                   겉으로 눈물 지고 속타는 줄 모르는고
                   저 촛불 날과 같아야 속타는 줄 모르더라

                     (이개)

                   간밤에 부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이 다 기울어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요

                     (유응부)

                   초당에 일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워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더니
                   문전의 수성 어적이 잠든 나를 깨와라

                     (유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