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뼈에 사무친 원한을 말하는 고사성어 원입골수

박남량 narciso 2010. 7. 26. 14:22


뼈에 사무친 원한을 말하는
고사성어 원입골수(怨入骨髓)


                 춘추시대 오패의 한 사람인 진목공의 딸이
                 진문공의 부인이었는데
                 진문공이 죽자 진목공이 반대를 무릅쓰고 멀리
                 정나라를 치게 되는데 자기를 무시한 행동이라며
                 진문공의 아들인 진양공이 상복차림으로
                 이들을 물리쳐 진나라 삼수라는 세장수를 잡아 왔다.
                 선진이라는 장수의 용의주도한 계획에서였다.

                 진목공의 딸인 문영은 입장이 난처하였다.
                 진양공에게는 어머니 뻘이 되었으니
                 친정과 시집의 싸움 틈바구니에 끼여 난처하였다.
                 문영은 진문공의 정실로 시집을 왔으나
                 과거에 장가든 아내와 자식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굳이 그 아내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그 아들까지를
                 태자로 세우게 하여 문공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된 것이
                 양공이다. 그래서 양공의 칭송을 받는 여인이었다.

                 문영은 이번 사건을 원수를 깊게 하지 않는 것 뿐이라
                 포로로 잡혀온 세 장군을 돌려 보내고 싶었다.
                 그리하여 양공에게 이렇게 청하였다.
                 "진나라 임금은 이 세 사람을 뼈 속에 사무치도록
                 원망하고 있을 터이니 이 세 사람을 돌려 보내 우리
                 아버지로 하여금 직접 이들을 기름가마에 넣어 한을
                 풀게 해 주시오."

                 양공은 지난 날의 정의를 생각해 볼 때
                 그런 정도의 아량을 보이는 것이 당연할 것만 같았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선진이 밥을 먹다가 뱉아 내고
                 천신만고 끝에 이룬 공을 여자의 말 한 마디로 망쳐
                 버렸다고 임금을 철이 없다고 꾸중을 했다.
                 양공은 선진에게 사과를 하고 다시 잡으러 갔을 때는
                 이미 때가 늦었다.
                 선진이 예측한 대로 진목공은 이 세 장수들을
                 원래의 자리에 앉히고 환영을 하고 더욱 환대를 하여
                 마침내 패자가 될 수 있었다.
                 여기에 나온 말이
                 穆公之怨  此三人 人於骨髓 이다.
                 목공이 세 사람에 대한 원한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잘못에 대한 후회가 뼈에 사무치도록
                 깊었다는 말이다.

                 여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원입골수(怨入骨髓)이다.

                 원입골수(怨入骨髓)란

                 원한이 뼈속에까지 들어가 있다는 뜻으로
                 뼈에 사무친 원한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