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령을 자꾸 고쳐 갈피를 잡기가 어렵다는 고사성어 조령모개(朝令暮改)
전한의 문제와 경제 사이에 벼슬한 조착의 상소문에 실린 글로 상소한 글은 후에 논귀속소(論貴粟蔬)라고 불려지게 되었다.
논귀속소란 곡식의 귀함을 논하는 상소라는 뜻이다. 상소문은 이러했다. " 지금 다섯 가족의 농가에서는 부역이 과중하기 때문에 노역에 복종하는 사람이 두 사람을 데려가지 않아 경작하여 얻는 경우에도 백 모가 고작이어서 백 모의 수확은 많아야 백 석에 지나지 않습니다. 봄에 경작하고 여름철에 풀을 뽑고 가을에 수확하여 겨울에 저장하고 섶과 땔나무를 자르고 관청의 일을 닦으니 부역에 징발되어 - 중략 - 춘하추동 쉴 날이 없나이다. 또 개인적으로는 사람들을 보내고 맞이하며 죽은 자를 조문하고 고아들을 받는 등 어린이를 기르는 일도 그 일인 것입니다. 그와같이 악착같이 하는 터에 또한 홍수와 한발의 재해를 당하며 갑자기 세금이나 부역을 당하게 되니 세금과 부역은 때로 정하지 않고 朝令而暮改 아침에 영을 내리고 저녁에 고치는 결과가 되는 것입니다.
조착의 상소한 글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조령모개(朝令暮改)이다.
조령모개(朝令暮改)란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말로 법령을 자꾸 고쳐 갈피를 잡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