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문화

묵객의 사랑을 받은 매화와 매화타령

박남량 narciso 2006. 11. 2. 10:03

 

             묵객의 사랑을 받은 매화 와 매화타령


                     매화 타령
                     12가사의 하나로 매화가라고도 한다. 
                     청구영언과 남훈 태평가 등에 전한다.
                     매화꽃에 얹어 봄날의 사랑을
                     갈구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그물을 맺고 푸는 것으로
                     남녀간의 사랑이 맺고 풀리는 이치를
                     흥겨운 노랫가락에 얹어 불렀다.
                     음악적 배려에 의한
                     자구의 반복이 두드러지며
                     사랑의 대상에 사신으로
                     북경에 갔다 오는 역관을 설정한 것은
                     노래제작자의 신분과 함께
                     역관의 지위가 상승되어 가던 당시의 
                     사회상을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어 흥미를 끈다.
                     이 노래말은

                     매화야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온다.
                     춘설이 하 분분하니
                     필지 말지도 하다마는.
                     북경사신역관들아
                     오색당사를 붙임을 하세.
                     그물 맥세, 그그그물 맺세
                     오색당사로 그그그물 맥세.
                     그물 치세, 그그그물 치세
                     부벽루 하에 그물 치세, 그그물 치세...

                     옛 선인들은 꽃을 사랑하였는가 보다.
                     꽃에 대한 낭만적인 생각이 담겨있다.
                     꽃의 빛깔, 향기, 모양 등을 묘사한
                     꽃노래로 꽃타령이 많이 전해져 온다.
                     아무튼 꽃노래를 부르거나
                     꽃을 소재로 하여 글을 쓰면서
                     기쁨과 행복을 만끽하였는가 보다.

                               동야시(冬夜詩)

                     베게 위에서 시가 만들어지니
                     기뻐서 잠이 오지 않네
                     붓과 벼루를 찾아 등불을 켜고
                     매화꽃병에서 먹물을 얻으려 하니
                     이미 서리와 바람에 물이 얼어 있네.

                     매화도 사군자의 하나로
                     시인이나 묵객으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매화를 호문목(好文木)이라 하는 데
                     매화가 시객들의 친구로서
                     잘 지내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꽃 이외의 매화의 뜻을 찾아 보면

                     매화도 한 철이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매화가 아무리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꽃이라 하더라도
                     그 생명은 한 철에 그치므로
                     결국 사라지고 만다는 뜻이다.

                      왕의 신성성을 높이고자
                      왕의 똥을 매화라 하였고
                      왕의 대변기를 매화틀이라고 하였으며

                      매화는 빙기옥골(氷肌玉骨)이라 하여
                      천진하고 순결한 처녀에 비유하였고
                      재혼을 말할 때는 이도매라 하였다.
                      몸에 매화같은 반점이 생긴다고 하여
                      매독을 양매병이라고 하였다.




'꽃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백꽃 목욕  (0) 2007.01.26
시기(詩妓) 매창과 이화우  (0) 2007.01.04
백호 임제 와 화사 이야기  (0) 2006.10.30
화만 과 사월초파일  (0) 2006.10.11
꽃의 효능  (0) 2006.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