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문화

시기(詩妓) 매창과 이화우

박남량 narciso 2007. 1. 4. 12:47

 

시기(詩妓) 매창과 이화우



                            황진이는 알아도
                            매창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조선시대 여성들에게는 이름이 없었다.
                            당호를 가진 귀족 여성
                            이름만 있는 기생들이 있었다.
                            이러한 시대에
                            이름, 자, 호까지 지니며 살았던
                            매창은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이다.
                            본명은 향금(香今), 자는 천향(天香)
                            계유년에 태어났으므로
                            계생(癸生)이라 불렀다 하며
                            계랑(癸娘.桂娘)이라고도 하였다.
                            매창(梅窓)은 아호이다.

                            부안의 명기로서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나
                            꽃나무를 소재로 하여
                            많은 시를 읊었던 부용,
                            황진이와 더불어 3대시기의 한 사람이다.
                            절세가인은 아니어도
                            황진이에 버금가는 기녀이자
                            여류시인이었던 매창.
                            계생의 시문의 특징은 가늘고 약한 선으로
                            자신의 숙명을 그대로 읊고 있는 것이며
                            자유자재로 시어를 구사하는 데서
                            그의 우수한 시재를 엿볼 수 있다.
                            여성적 정서를 읊은
                            추사(秋思), 춘원(春怨), 증취객(贈醉客)
                            이화우(梨花雨) 등이 유명하며
                            가무·현금에도 능한 다재다능한 예술인이었다.

                            그녀의 시조 중에 고전작품으로 유명한
                            한글시조 이화우(梨花雨)


                            이화우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낙엽에
                            저도 나를생각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도다

                            매창은 흩날리는 배꽃을 보고
                            이화우라고 불렀다.
                            연인을 떠나보낸 날에 지는 배꽃은
                            그에게 애처로운 빗줄기로 보였으리라.

                            님에 대한 그리움을 넘어서
                            서러움과 한을 드러내고 있다

                            시문을 거문고 가락에 실어
                            사내들의 애간장을 무던히도 태웠다는 그녀.
                            술에 취한 손님들에게 시를 지어
                            무색하게 한 증취객(贈醉客)

                       醉客執羅衫 
                       羅衫隨手裂 
                       不惜一羅衫 
                       但恐恩情絶 

                            술 취한님 내 옷자락 잡으니        
                            능라 저고리 덧없이 찢어지네        
                            한 벌 비단옷 아깝지 않으나         
                            깊은 정 함께 끊어질까 두려워

                            매창은 기생의 몸이면서도
                            풍류를 알고 인생을 알아서 정으로 살았다.
                            그것을 몰라주는 세상을 탓하며
                            세월을 보내는데 그녀가 지은 시조 중에
                            꽃의 내용이 있는 한거(
閑居)


                       石田茅屋掩柴扉
                       花落花開辨四時
                       陜裡無人晴盡永
                       雲山炯水遠帆歸

                            두메의 오막살이 사립문을 닫았는데
                            꽃이 피고 꽃이 져서 계절을 알려주네
                            사람없는 산골에는 해가 무척 길어서
                            구름 밖에 돌아오는 먼 돛대 반갑네

                            기생의 운명이 그러하다.
                            정들만 하면 떠나고
                            마음 붙일만 하면 헤어지는 이별을
                            받아들여야 했던 기구한 운명이었다.

                       壺中歲月無盈缺
                       塵世靑春負小年
                       他日若爲歸紫府
                       請君謨我玉皇前

                            술병 속의 세월은 차고 기울지 않았지만
                            속세의 청춘은 젊음도 잠시일세
                            후일상제께로 돌아가거든
                            옥황 앞에 맹세하고 그대와 살리라

                            마음의 고독과 육신의 질병에 시달리며
                            곧은 절개를 지킨 매창은
                            말년에 이르러 외로움과 눈물로 살아온
                            자신의 인생을 한시로 노래하곤했다. 

                       空閨養拙炳餘身
                       長任飢寒四十春
                       借間人生能幾許
                       胸懷無日不沾巾


                            독수공방 외로워 병든 이몸이
                            굶고 떨며 사십년 길기도 하지
                            인생을 살아야 얼마나 사는가
                            가슴 서글퍼 하루도 안 운적 없네

                            38세로 거문고와 함께 부안땅에 묻혔다.
                            매창은 평소에 거문고와 시에 뛰어났으므로
                            죽을 때에도 거문고를 함께 묻었다고 한다.
                            이 고장 출신의 시인 신석정은
                            매창, 유희경, 직소폭포를 가리켜 
                            부안삼절(扶安三絶)이라고 하였다.



'꽃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나라꽃 (국화)  (0) 2007.01.27
동백꽃 목욕  (0) 2007.01.26
묵객의 사랑을 받은 매화와 매화타령  (0) 2006.11.02
백호 임제 와 화사 이야기  (0) 2006.10.30
화만 과 사월초파일  (0) 2006.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