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덧없는 세상의 변천을 뜻하는 고사성어 창해상전

박남량 narciso 2009. 10. 7. 17:29


덧없는 세상의 변천을 뜻하는
고사성어 창해상전(滄海桑田)


                어느 날 바다에서 나이 많이 먹은
                세 노인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 나이를 물었다.

                한 노인이 말하길
                " 내가 기억하기로는 어려서 반고가 있을 때
                안과 밖의 문제가 있었소"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설에 의하면
                천지가 개벽할 때 그 형상은 마치 달걀 같았는데
                반고는 바로 여기서 태어났으며
                뒤에 하늘이 점점 높아지고 땅이 점차 두터워져
                반고는 하늘과 땅과 같이 자라났다.
                이 전설대로 라면
                반고는 온 우주가 그의 안에 싸인 것이다.
                이 노인이 말하듯 반고가 내외의 문제가 있다 함은
                그가 어렸을 적에 반고가 어느 만큼 자라 컸음이니
                그가 태어난 시기는 천지가 처음 개벽한 때와
                멀지 않았던 것이라는 말이다.

                두 번째 노인이 말하길
                " 푸른 바다가 뽕밭으로 변할 때 마다(滄海變桑田)
                그 변화는 횟수 하나씩을 암기했는데 지금 그 숫자가
                열간이나 되는 집에 꽉 차 있소."
                창해는 넓어 끝이 없는 푸른 바다의 이름이고
                상전은 뽕나무를 심어 놓은 밭을 말하는 것으로
                지형이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다는 말이다.

                마지막 노인이 말했다.
                " 나의 스승이 반도를 잡수신 후 그 반도의 씨를
                곤륜산 기슭에 버렸는데 지금은 그 복숭아 나무가
                자라서 곤륜산 높이와 맞먹습니다."
                전설에 의하면
                동해 바다 어느 섬에 도색산이 있는데
                거기에 복숭아 나무 한 그루가 자라 그 뿌리가
                수천리에 걸쳐 있는데 그 나무를 반도라 하며
                삼천 년에 한 번씩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며
                다시 삼천 년이 지나야 열매가 열린다고 한다.

                송나라 때 편찬된 태평어람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창해상전(滄海桑田)이다.

                창해상전(滄海桑田)이란

                푸른 바다가 변하여 뽕밭이 된다는 말로
                덧없는 세상의 변천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