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옹지마(塞翁之馬)
국경의 요새가 가까운 곳에 점을 잘 치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어느날 그의 말이 연고도 없이 도망하여 오랑캐 땅으로 들어갔다.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그의 아버지가 애석한 기색 없이 말했다.
「 누가 아오? 이 일이 복이 될런지?」
몇 달이 지나자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를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축하하자 그의 아버지가 기쁜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다.
「 누가 아오? 이 일이 화가 될런지?」
집에는 좋은 말이 늘어났다. 그 아들은 말타기를 좋아하여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그 아버지는 슬픈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다.
「 누가 아오? 이 일이 복이 될런지?」
그로부터 1 년이 지난 어느날 오랑캐가 큰 세력으로 공격해 들어왔다. 마을 장정들은 이를 맞아 싸우다가 모두 전사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은 절름발이었기 때문에 무사했다.
복이 재앙이 되기도 하고 재앙이 복이 되기도 하여 변하여 그 끝을 알 수가 없으니 깊이 헤아릴 수가 없다.
여기에서 나온 고사성어가 새옹지마(塞翁之馬)
사람의 길흉화복이란 일정한 것이 아니며 그 변화는 예측할 수 없다는 데서 재앙도 슬퍼할 것이 못 되고 복도 기뻐할 것이 못 된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모든 것이 전전하여 무상하므로 인생의 길흉화복을 예측할 수 없다는 새옹지마 세상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알 수 없는 것이다라는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이 말은 인간의 만사는 새옹지마니 베개를 밀치고 짐 가운데서 빗소리를 들으며 자네. 원나라의 중 희회기의 시에서 유래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