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란한 일이나 재앙을 남에게 떠넘기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이린위학(以隣爲壑) 전국시대(戰國時代) 위(魏)나라 혜왕(惠王)의 신하로 주(周)나라 사람 백규(白圭)라는 자가 있었다. 그는 축성(築城)과 수리(水利)를 전담하였는데 맹자(孟子)와 같은 시기에 활동했다. 백규는 치수 사업으로 둑을 튼튼하고 높게 쌓아 자기나라에는 홍수가 나지 않도록 잘 방비하여 스스로 자신이 우(禹)임금 보다는 낫다고 자부하였다. 그러나 그 둑 때문에 이웃 나라가 수해를 입을 수도 있는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맹자는 어진 사람이 할 일이 아니라고 백규의 잘못을 지적했다. 白圭曰(백규왈) 丹之治水也(단지치수야) 愈於禹(유어우) 孟子曰(맹자왈) 子過矣(자과의) 禹之治水(우지치수) 水之道也(수지도야) 是故禹以四海爲壑(시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