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작자 미상의 민화 <바리공주> 우리 미술관 옛그림 작자미상 바리공주 민화 조선시대, 영월민화박물관 소장 죽은 자를 천도하는 의례인 진오기굿, 안안팎굿, 오구굿 등을 구연할 때 빠지지 않는 바리데기 서사무가(敍事巫歌)는 흔한 공주이야기입니다. 죽은 자를 위한 자리에 초대되는 공주 바리는 인간의 삶과 죽음의.. 역사 산책 2017.12.01
우리 미술관 엣그림 - 작가 미상의 <민화(民畵) 담배 피는 호랑이> 우리 미술관 옛그림 작가 미상 <민화(民畵) 담배 피는 호랑이> 조선시대에는 집안에 사악하고 부정한 것을 쫓아내기 위해 부적을 다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나쁜 귀신을 쫓는다는 축귀(逐鬼)와 사악한 것을 물리친다는 벽사辟邪)의 의미입니다. 새해 정월이 되면 집집마다 거는(歲.. 역사 산책 2016.09.23
우리 미술관 옛그림 - 민화(民畵) <문자도> 우리 미술관 옛그림 민화(民畵) <문자도> 문자도는 수(壽) 또는 복(福) 글자를 도식화한 수복문자도(壽福文字圖)와 유교의 도덕관을 대표하는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여덟 글자를 그림으로 형상화한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를 말합니다. 글자의 자.. 역사 산책 2016.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