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내면이 함께 빛난다는 고사성어 문질빈빈(文質彬彬) 공자(孔子)는 바탕이 꾸밈보다 나으면 촌스럽고 꾸밈이 바탕보다 나으면 사치이니 文質彬彬(문질빈빈) 꾸밈과 바탕이 알맞게 어우러져야 군자라 할 수 있다고 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서 말씀하셨다. 문(文)의 원래의 뜻은 문(紋)이다. 문(紋)은 외형적 문양이다. 질(質)은 본질이다. 빈빈(彬彬)은 문양과 본질이 잘 어우러진 모습이다. 보기 좋은 떡이 문(紋)이라면 맛 있는 떡은 질(質)이다. 보기도 좋고 맛도 있는 떡이라면 문질빈빈(文質彬彬)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은 저마다 타고난 소질이 있고 태어난 이후에 갈고 닦아 이룩한 것이 있다. 전자를 질(質) 즉 바탕이라 하고, 후자를 문(文) 즉 꾸밈이라 했다. 공자(孔子)의 이상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