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허 난설헌의 시의 세계와 일생

박남량 narciso 2006. 9. 21. 09:31

 

허 난설헌의 시의 세계와 일생


                      허 난설헌은 조선 명종 때인 1562년
                      동해를 안고 앉은 강릉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이름은 초희였으며
                      난설헌은 그녀의 호다.
                      그러나 글을 지을 때는 반드시 허 난설헌으로
                      자신을 밝혔기 때문에 본이름보다 호가
                      더 잘 알려져 있다.

                      허 난설헌은 어렸을 때부터 감정이 여리고
                      독서와 글짓기를 즐겨 5세 때 이미 많은 시를
                      지었으며 8세에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을 짓는 등
                      얼굴이 아름다우며 천재적인 시인 기질을 가져
                      여자 신동으로 알려져 관심을 끌었다.
                      허 난설헌은 문장가였던 허균의 누이이기도 하다.

                      허 난설헌의 아버지는 그 시절의
                      사회풍습대로 딸에게 글을 가르치지 않았으나
                      그녀는 오빠들 어깨넘어로 글을 깨우쳤다.

                      그녀는 미쳐 피지도 않은 나이 15세에
                      김성립과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남편 김성립의 방탕한 생활과 기방 출입은
                      그녀를 더욱 고독하게 만들고
                      반면 김성립은 늘 재주가 빼어난 부인에게
                      열등 의식을 지니고 있었던 것 같다.

                         
            규 원(閨怨)
                      비단띠 비단치마 눈물 흔적 쌓였음은
                      임 그린 1년 방초의 원한의 자국
                      거문고 옆에 끼고 강남곡 뜯어 내어
                      배꽃은 비에 지고 낮에 문은 닫혔구나
                      달뜬 다락 가을 깊고 옥병풍 허전한데
                      서리친 갈밭 저녁에 기러기 앉네
                      거문고 아무리 타도 임은 안 오고
                      연꽃만 들못 위에 맥없이 지고 있네. 


                      그녀의 결혼 생활은 불행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시어머니와의 사이가 나빴으며
                      남편과도 다정하게 지내지 못했다.
                      허 난설헌은 뛰어난 재주를 가지고 있었으나
                      끝없이 불행에 시달려야 했다.

                      시어머니와 남편의 쌀쌀함 속에서
                      고통스럽게 지내며 아들 딸 남매를 낳았으나
                      잇달아 죽고 말았다.
                      허 난설헌은 그 아픔을 이렇게 노래한다.

                      지난해 사랑하는 딸을 여의고
                      올해는 사랑하는 아들 잃었네.
                      슬프고 슬픈 광릉의 땅이여
                      두 무덤 마주보고 나란히 서 있구나
                      백양나무 숲 쓸쓸한 바람.
                      도깨비 불빛은 숲속에서 번쩍이는데
                      지전을 뿌려서 너의 혼을 부르고
                      너희들 무덤에 술 부어 제 지낸다
                      아! 너희 남매 가엾은 외로운 혼은
                      생전처럼 밤마다 정답게 놀고 있으니
                      이제 또다시 아기를 낳는다 해도
                      어찌 능히 무사히 기를 수 있으랴
                      하염없이 황대의 노래 부르며 
                      통곡과 피눈물을 울며 삼키리.


                      그 후 허 난설헌은 1590년 27세라는 꽃 같은
                      나이로 짧고 슬픈 인생을 마감했는데

                      푸른 바닷물이 구슬 바다에 스며들고
                      푸른 난새는 채색 난새에 기대었구나
                      부용꽃 스물 일곱 송이가 붉게 떨어지니
                      달빛 서리 위에서 차갑기만 해라.


                      라는 시를 지은 적이 있는데
                      그녀를 말하는 듯한
난새라는 뜻은
                      남조 송나라 범태의 난조시서에 나오는 새다.
                      계빈왕에게 잡힌 난새는 새장에 갇혀
                      사람들을 위해 노래를 부를 운명에 처했으나
                      이를 거부하고 삼 년 동안이나 한 번도
                      울지 않았다고 한다. 계빈왕은 거울을 걸어 
                      난새에게 자신의 모습을 보게 했고
                      거울에 비친 자신을 보고 난새는 슬피 울기
                      시작하더니 결국 거울에 부딪혀 죽고 만다.
                      난새는 집안의 몰락과 시어머니와의 갈등
                      남편과의 불화 등 불행한 가족사를 지녔으며
                      여성이기 때문에 그 재능을 표출하는 것이
                      어려웠던 자신을 비유하며
                      자신이 죽을 것을 알고 있었던 듯 하다.

                      허 난설헌이 27세 되던 어느 날
                      갑자기 몸을 씻고 옷을 갈아 입고서
                      오늘 연꽃이 서리를 맞아 붉게 되었다
                      하고는 눈을 감았다 전해진다.

                      그녀는 생전에 세 가지의 한을
                      입버릇처럼 말했었다고 하는데
                      하나는 여자로 태어난 것
                      다른 하나는 조선에서 태어난 것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김성립의 아내가 된 것이라고 한다.

                      그녀는 자신의 모든 작품을 태워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하는데 난설헌의 글이
                      너무 아깝고 억울하여 동생은
                      모두 태워 버리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그녀가 만일 평범한 가정 속에서
                      한 남자의 아내로서 사랑받고
                      한 집의 며느리로서 대우 받으며
                      자식들을 그리 떠나보내지 않았다면
                      이렇게 가슴 저미는 설움 담긴 글들을 우리는
                      단 한 편도 보지 못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녀의 남편 김성립은 아내가 죽은 후
                      재혼하였으나 아이를 얻지 못하였고 죽은 후에도 
                      본처가 아닌 후처와 합장하였다고 한다.

                      숨막히는 당시 사회에서 철저하게 버림받고
                      희생당한 빼어난 미모와 재능의 소유자인
                      허난설헌의 아픔이 400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녀의 얼마 전해 지지 않는 몇 편의 시와
                      그림 속에서 베어 나오는 듯 하다.

                                  채련곡(연꽃을 따는 노래)           

                      가을에 맑은 호숫물 옥돌처럼 흘러가고
                      연꽃 피는 깊은 곳에 난초 배를 매놓고서
                      당신 보고 물 건너서 난꽃을 던졌는데
                      혹시 남이 봤을까봐 반나절 부끄럽네


                      시대를 잘못 타고난 불운한 천재
                      허난설헌의 삶은 남존 여비, 여필 종부 등의
                      유교적 사상과 가치관에 희생된 한 여인의
                      슬픔이라기보다 한 시대의 슬픔이 아닐까.

                      허난설헌의 시는 그녀가 죽은 후
                      동생 허균에 의해 문집으로 간행됐다.
                      최초로 단독 문집을 가진 여성인 셈이다. 
                      1600년에 중국에 전해진 난설헌의 시는 
                      그 인기가 대단했다고 하는데 2백년이 지난
                      1794년에도 관심을 받으며 유명 시집에 포함됐다.

                                     山嵐(산 아지랑이)

                   暮雨侵江曉初闢
                   모우침강효초벽 
                   朝日染成嵐氣碧
                   조일염성남기벽 
                   經雲緯霧錦陸離
                   경운위무금륙리 
                   織破瀟湘秋水色
                   직파소상추수색  

                       밤비가 강을 엄습하더니 새벽이 비로소 열리고
                       아침 해가 산 아지랑이를 푸르게 물들이네
                       구름과 안개 얽히면서 비단처럼 땅 위에 깔리는데
                       소상강 위에서 흐트러지며 가을 물빛으로 보여주네 

                   隨風宛轉學佳人
                   수풍완전학가인 
                   畵出雙蛾半成蹙
                   화출쌍아반성축 
                   俄然散作雨斐斐
                   아연산작우비비 
                   靑山忽起如新沐
                   청산홀기여신목 

                       바람 따라 완연히 돌며 아름다운 여인처럼 배우다
                       굽은 눈썹 그려 내었지만 반쯤은 찌푸려졌네
                       잠시 뒤에 흩어져서 비가 되어 흩뿌리더니 
                       푸른 산이 새로 목욕한 듯 홀연히 일어서네
 
 
 

'역사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징의 금당 벽화  (0) 2006.10.02
화랑 사다함 과 무관랑 그리고 세속오계  (0) 2006.09.25
진주성 싸움에서 순절한 김보원  (0) 2006.09.18
이괄의 난 과 삼일천하  (0) 2006.09.13
동래성 과 송상현  (0) 2006.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