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음을 말하는 고사성어 각주구검

박남량 narciso 2009. 2. 2. 13:32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음을 말하는
고사성어 각주구검(刻舟求劍)

                   초나라의 어떤 사람이 조그만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가게 되었다.
                   이 사람이 배를 타고 건너가던 도중에
                   우연히 몸을 돌리려는 찰나에 그만 몸에 가졌던
                   칼 한 자루를 물 속에 빠뜨렸다.
                   깜짝 놀란 그 사람은 떨어진 칼을
                   건지려고 하였으나 목적지에 다다르는 일이 바빠
                   빠뜨린 칼을 건지지 않고
                   그저 주머니에서 작은 칼을 꺼내어
                   칼이 떨어진 뱃전에다 표를 해놓기만 했다.
                   그리고 혼잣말로 이렇게 표기를 해 두었으니
                   볼일을 본 다음에 돌아와 칼을 건지면 되지하고는
                   아무 걱정 없다는 듯이 강을 건넜다.
                   물에 들어가 잃은 칼을 찾을 수 있다고
                   그야말로 가장 똑똑한 방법이라 여겼지만
                   결과는 당연히 찾을 길이 없는 것이었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각주구검
(刻舟求劍)이다.

                   
각주구검
(刻舟求劍)이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음을 말한다.

                   연목구어(緣木求漁)와 각주구검(刻舟求劍)을
                   같은 뜻으로 생각하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은 차별이 있다.
                   연목구어는 나무에 올라가서 고기를 구한다 함이니
                   고기는 물에 사는데 어찌 나무에 올라
                   고기를 구할 수가 있겠는가.
                   헛된 애만 쓰고 아무 이로움이 없다는 말이다.
                   연목구어(緣木求漁)는 머리가 단순한 사람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헛되이 애쓰며
                   무익한 일을 굳히 하려고 한다는 뜻으로
                   물 속에서 달을 건진다는 수중로월(水中撈月)
                   바다 밑에서 바늘을 건진다는 해저로침(海底撈針)
                   이라는 말과 같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