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눈 앞에 욕심으로 덤빈다면 해를 입는다는 고사성어 당랑포선

박남량 narciso 2009. 9. 10. 17:20


눈 앞의 욕심으로 덤빈다면 해를 입는다는
고사성어 당랑포선(螳螂捕蟬)


                이슬을 먹으려는 매미는 뒤에서 사마귀가
                노리는 줄 모르고 사마귀는 또한
                자기를 노리는 꾀꼬리가 있음을 모른다는 이야기이다.
                오나라 왕은 강대한 병력을 믿고 이웃 나라를
                끊임없이 침략하여 백성들이 어려웠다.
                오나라 왕이 초나라 침범을 계획하니
                신하들은 목숨이 두려워 진언할 수가 없었다.

                소유자라는 대신이 있었는데
                그는 매일 아침 일찍 활과 화살을 들고 왕궁 후원에
                나가 배회하면서 아침 이슬로 옷을 흠뻑 적시곤 했다.
                사흘 되던 날 오왕의 주의를 끌게 되었다.
                오왕은 어찌 아침 일찍부터 옷을 적셨는가 물으니
                소유자는 꾀꼬리를 잡으려다 연못에 빠졌다고 하면서
                오히려 귀한 교훈을 얻었다고 하니
                도움이 될까하여 설명을 재촉하여 물었다.

                조금 전에 신이 후원에 와서 새를 찾아 솜씨를 시험해
                보려 했는데 갑자기 매미 한 마리가 울더군요.
                그래서 나무 위를 보니 매미가 붙어 있는 바로 뒤에
                사마귀가 두 팔을 내어 밀고 매미를 덮치려 하고 있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뜻밖에도 사마귀 뒤에는 꾀꼬리가
                사마귀를 잡아 먹으려 주시하고 있더군요.
                사마귀가 매미를 잡자 꾀꼬리가 사마귀를 덮쳐
                한 입에 넣어 삼키려는 찰라에 신이 활을 쏘았습니다.
                꾀꼬리가 땅에 떨어지더군요.
                사마귀와 꾀꼬리가 눈 앞의 이익만을 탐내고
                뒤의 우환은 생각하지 않다가 이런 결과가 생겼다고
                생각하면서 꾀꼬리를 주으려 가다 연못에 빠졌습니다.
                신도 연못이 있는 줄을 몰랐기에
                똑같은 과오를 저질렀음을 깨달았습니다.
                이 얼마나 귀중한 교훈입니까?
                오왕은 소유자의 말뜻을 깨달아 미소를 지었다.
                물론 충고를 받아 드린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당랑포선(螳螂捕蟬)이다.

                당랑포선(螳螂捕蟬)이란
                눈 앞의 욕심에만 눈이 어두워 덤빈다면
                곧 해를 입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