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처럼 어수룩하게 행동하기 어렵다는 고사성어 난득호도(難得糊塗) 바보처럼 어수룩하게 행동하기 어렵다는 고사성어 난득호도(難得糊塗) 청나라 때 유명한 서예가인 판교(板橋) 정섭(鄭燮)의 이야기이다. 어느 날 그는 難得糊塗(난득호도) 喫虧是福(끽휴시복)이란 글씨를 쓰고 바보처럼 어수룩하게 행동하기 어렵다는 難得糊塗(난득호도) 아래에 작은 글.. 고사 성어 2016.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