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운명은 그대 자신이 만든다

박남량 narciso 2008. 12. 11. 11:58

 

 
운명은 그대 자신이 만든다

                당나라 때 도독 염백서란 사람이 장강 유역의
                남창에 등왕각이라는 정자를 세웠다.
                그는 낙성식을 하는 자리에서 그의 사위로 하여금
                서문을 짓게 하여 사위 자랑을 하고 싶었다.
                그런데 사위인 왕발은
                너무도 먼 거리에 있어 올 수가 없는 실정이었다.
                등왕각 낙성식을 이틀 앞둔 날 밤에
                왕발은 어떤 노인의 꿈을 꾸게 되는데
                낙성식에 참석하여 서문을 지으라는 것이었다.
                그는 불가능하지만 시험 삼아 배에 올랐다.
                어쩌면 그렇게도 순풍이었던지 하루 만에 남창에
                도착하여 마침내 낙성식에 참석하여
                천하의 문장으로 알려진 등왕각서를 짓게 되었다.

                송나라 때의 이야기도 전해진다.
                한 재상이 가난한 선비에게 천복산에 있는
                명필 구양순이 쓴 천복비의 비문을 탁본해다 주면
                많은 사례를 하겠다는 제의하니
                이 가난한 선비는 희망에 부풀어 천복산으로 갔다.
                그러나 그가 도착한 날 밤에 난데없는 벼락이
                천복비를 때려 비석은 산산조각이 나버렸다.
                가난한 선비의 꿈 역시 산산조각이 나버렸다.

                명심보감에 실린 글의 이야기이다. 
                時來風送騰王閣
             시래풍송등왕각
             運退雷轟薦福碑
             운퇴뇌굉천복비
                때가 오면 바람이 등왕각으로 보내 주고
                운이 나가면 벼락이 천복비를 때린다.

                등왕각 이야기는 미지의 세계에 도전하려는
                왕발의 의지가 하나의 기회였으며 운명일 수 있었다.
                자기에게 온 기회를 놓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천복비 이야기는
                선비로서 학업에 열중해야 할 텐데
                사례를 바라고 자신의 본분을 잊어 버린 선비에 대한
                하늘의 냉엄한 심판을 내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이야기는 정반대의 경우를 보여주는 이야기로
                그 누구도 그대의 운명을 만들어 주지 않는다.
                그대의 운명은 그대 자신이 만들어야 한다.

                운명이란 거대한 존재를 그대의 소유로 하라는 것이다.
                그대가 그 운명을 조종하고 지배하라는 것이다.
                그 용기를 그대의 것으로 하라는 것이다.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모름지기 자기의 길을 향해 매진하라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