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경제살리기' 법의 목적 아니다

박남량 narciso 2009. 7. 8. 14:22


경제살리기 - 법의 목적 아니다

비정규직법 제쳐놓고 국회는 장외공방만
경제 살린다며 서민들 울려서야


                작년의 금융위기 이후
                경제살리기가 법의 목적처럼 되어 버린 것 같다.

                역사상 부국강병과 법을 이론적으로 연결시킨
                법가사상을 통치이념으로 채택한 나라는
                중국 진(秦)나라였다.
                진나라는 부국강병을 국가목표로 하고
                법을 부국강병의 수단으로 삼았다.
                진나라는 법을 수단으로 한 가혹한 통치로
                일시 성공했으나 결국 민심의 이반으로
                유방의 오합지졸에게 맥없이 무너졌다.
                유방은 진나라의 악법을 모두 폐지하고
                사람을 죽이는 자는 사형에 처하고
                사람을 다치게 하는 자와 남의 물건을 훔치는 자는
                그 죄에 따라 처벌한다는 약법삼장(約法三章)만
                포고하여 천하의 백성들을 안정시켰다.

                근대 민주주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법은 1215년
                영국의 '마그나 카르타(대헌장)'이다.
                대헌장은 국왕과 귀족 사이에 체결된 것이나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근거로 삼을 수 있는
                귀중한 구절들이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 헌정사의 이정표가 된 것이다.

                민주주의의 발전과정을 보면 민주주의 국가에서
                국민의 자유를 위한 가장 중요한 법은
                형법과 형사소송법이다.
                형법은 '범죄인의 마그나 카르타'라고 하는데
                이것은 형법이 "법률 없으면 범죄 없고 형벌 없다"는
                죄형법정주의의 내용을 규정한 법이기 때문이다.
                형사소송법은 헌법의 자유권을
                형사절차에서 실현하는 법률이다.

                이러한 법제도를 보면 법치국가에서 법의 목적은
                개인의 자유라는 것이 명백해진다.
                미국 독립선언서는 "생명 자유 행복추구는
                선천적으로 주어진 양도할 수 없는 권리"라고
                선언하였다. 자유는 국가의 시혜가 아니라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주어진 권리인 것이다.

                한 개인의 자유는
                다른 개인의 자유나 공동체의 질서를 침해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평등과 '공공의 질서'가
                법의 또 하나의 목적이 된다.

                자본주의는 법치국가를 전제로 한다.
                자본주의의 기본적 요소는 '자본의 재투자'인데
                개인이 힘써 이뤄 놓은 성취를 권력자가
                불법적으로 빼앗아 간다면 누가 재투자를 하겠는가.
                자본주의의 발전은
                경제살리기라는 목적 때문에 이룬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유와 평등에 원인이 있었다.

                20세기에 와서 제약 없는 경제적 자유는
                사회적 약자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경제적 독점은
                실질적 평등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반성에서
                복지의 이념이 등장하고
                 이것이 헌법에도 구현되었다.

                법치국가에서 법의 목적은 자유 평등 복지라는
                헌법의 이념을 실현하는데 있는 것이지
                경제살리기가 법의 목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경제살리기는 목적을 위한 수단인 것이다.
                경제살리기만을 법의 목적으로 하게 되면
                국가가 경제 권력을 가진 집단을 우선하게 되어
                사회적 약자가 더욱 소외되는
                결과가 될 우려가 높은 것이다.

                경제살리기도 중요하지만 인간은 자유이며
                자유의 제한은 사회질서와 공공복리를 위해
                불가피한 경우에 허용된다는
                헌법정신은 지켜져야 한다.
                그럼에도 법은 권력자의 명령이며
                자유는 국가가 허용할 때 인정되는 것이라는
                조선시대 법의식이
                우리 사회에 아직도 남아 있는 것 같다.

                무너진 법질서를 세우고
                법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법치는 국민의 자유를 지켜야 한다는
                국가의 의무일 뿐 국민의 의무는 아니다.
                국민은 법질서를 지킬 의무가 있을 뿐이다.

                세계에서 밤길이 가장 안전한 나라가
                일본과 한국이다.
                범죄검거율이 세계 2위이다.
                경찰 검찰 등 수사당국의 노고도 있었고
                대부분의 국민들이 법질서를 잘 지킨 증거다.
                단 야간의 경찰유치장에 취객들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은
                한국의 취객들이 반성해야 할 점이다.

                이 시점에서 가장 법을 지키지 않는 곳이 국회이다.
                국민의 대표라는 분들이
                수많은 서민들과 가족들의 생존이 걸린
                비정규직법을 제쳐놓고 장외공방만 벌이고 있다.
                나의 주장은 정당하지만
                너의 주장도 타당한 점이 있다는
                대의정치의 원리가 실종되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법과 연계되어 있는 것 같은데
                경제살리기 법이라는 미디어법이
                얼마나 경제를 살릴지는 먼 훗날 판명될 것이라면
                시급한 비정규직 법부터 처리해야 한다.
                고대 그리스에 하늘만 바라보다가
                하수구에 빠진 철학자가 있었다.
                경제를 살린다면서
                서민들을 길거리로 몰아서는 안 될 것이다.





                                    - 변호사 이재호 / 시론 / 국제신문 -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주머니  (0) 2009.07.10
당신을 만나면 행복합니다  (0) 2009.07.09
내 마음의 창도 유리처럼 투명하게  (0) 2009.07.07
주요 이동통신기술 용어해설  (0) 2009.07.07
가슴에 담는 사랑  (0) 2009.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