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관한 속담
속 담 |
풀 이 |
가을 곡식을 아껴야 봄 양식이 된다 |
풍족할 때 낭비하지 말고 아껴 두어야 |
가을 날씨와 사람의 마음은 모른다 |
잘 변화하는 가을 날씨처럼 사람의 마음도 주어진 환경에 따라 쉽게 변한다는 말. |
가을 닭띠는 잘 산다 |
흔히 닭띠에 난 사람은 |
가을 더위와 노인의 건강 |
가을에는 아무리 덥다 하더라도 오래가는 더위가 아니요 노인의 건강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오래 갈 수는 없다함이니 |
가을 마당에 빗자루 몽댕이를 들고 춤을 추어도 농사 밑이 어둑하다 |
가을 타작을 하여 줄 것은 주고 갚을 것은 갚고 빈손에 빗자루 하나만 들더라도 |
가을 무껍질이 두꺼우면 겨울에 춥다 |
오랜 동안의 경험에서 하는 말. |
가을 물은 소 발자국에 고인 물도 먹는다 |
가을 물은 매우 맑고 깨끗하여 이르는 말. |
가을 바람의 새털 |
꿋꿋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
가을 밭은 안 갈아 엎는다 |
가을 밭 농사가 끝난 후의 밭은 |
가을 밭에 가는 것은 |
가을 밭은 오곡백과가 풍성하므로 가난한 친정에 가는 것보다 가을 밭으로 가는 것이 먹을 것이 더 많다는 말이다. |
가을 볕에는 딸을 쬐이고 |
가을 볕보다 봄볕에 더 살갗이 거칠어지고 잘 타므로 며느리보다 딸을 더 생각한다는 말로 비슷한 속담이 있다. |
가을 부채는 시세가 없다 |
쓸 시기가 지난 것은 값어치가 없다는 말. |
가을에는 부지깽이도 덤빈다 |
추수 때는 매우 바쁘다는 말이다. |
가을 비는 떡 비라 |
가을에 비가 오면 들에 나가 일을 할 수 있고 곡식은 넉넉하니 집안에서 떡이나 해 먹고 지낸다하여 이르는 말이다. |
가을 비는 장인의 나룻 밑에서도 긋는다 |
가을비는 잠시 오다가 곧 그친다는 말. |
가을 상치는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 |
가을이 되면 상치가 그리 흔하지 않고 귀하며 또한 맛이 더욱 좋다는 데서 비롯된 말. |
가을 식은 밥이 봄 양식이라 |
가을에는 먹을 것이 풍족하나 봄에는 궁하니 풍족할 때 낭비말고 절약하라는 말. |
가을 아욱국은 계집 내쫓고 먹는다 |
가을 아욱국은 가장 가까운 아내에게 조차주지 않고 먹을 정도로 맛이 으뜸이라는 말. |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였는데 하물며 어려운 때에 오직 체면을 차리기 위하여 힘든 일을 할 수 있겠는냐는 뜻. |
가을에는 손톱 발톱이 다 먹는다 |
가을 철이 되면 햇곡식도 나고 입맛도 나서 많이 먹게 된다는 말이다. |
가을에 못 지낸 제사를 봄에 지낼까 |
형편이 넉넉할 때 못한 일을 |
가을 일은 미련한 놈이 잘 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므로 꾀를 부리는 약은 수로 일을 하는 것보다 그저 덮어놓고 닥치는 대로 해 치워야 성과가 많다는 말. |
가을 중 싸대 듯이 |
무슨 일이 바빠서 분주히 돌아다니는 것을 |
가을 중의 시주 바가지 같다 |
가을 추수가 끝나 곡식이 풍성하면 시주를 많이 하므로 그 바가지는 항상 가득한 것이니 무엇이 가득히 담긴 것을 이르는 말이다. |
가을 철에는 죽은 송장도 꿈지럭 한다 |
가을철 농가에서는 매우 분주하다는 뜻. |
가을 판에는 대부인 마님이 나막신짝을 들고 나선다 |
가을철 추수하느라고 바쁜 시기에는 사람이고 물건이고 무엇 하나 빠짐없이 모두 나서 거들게 된다는 뜻이다. |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이 힘들어 질 때 (0) | 2008.09.26 |
---|---|
커브길과 고속도로 (0) | 2008.09.26 |
아는 사람이예요? (0) | 2008.09.25 |
행복한 삶은 셀프입니다 (0) | 2008.09.24 |
좋은 생각이란 (0) | 2008.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