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가 지나치면 나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정도가 지나치면 나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늑대가 제 목에 걸린 가시를 빼어줄 의사를 찾고 있었습니다. 이때 백로와 마주쳤습니다. 늑대는 백로에게 반갑게 인사하면서 만일 목의 가시를 빼어준다면 선물을 듬뿍 주겠다고 하였습니다. 백로는 늑대 입속에 머리를 집어넣고 목구멍 속.. 삶의 지혜 2018.10.01
행복한 생활은 근심과 걱정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입니다 행복한 생활은 근심과 걱정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입니다 자유로워도 아집과 위선으로 가득 차 있다면 모두가 잘 사는 사회는 아닐 것입니다. 서로를 위하며 서로가 믿어주는 그런 사회는 바랄 수 없는 것일까요? 철학적인 깊은 생각을 통하여 진실 되고 마음이 행복한 사회였으면 좋겠습.. 삶의 지혜 2018.09.12
아무리 풍족해도 욕망을 쫓다 보면 만족을 모르게 되는 것이 인간입니다 아무리 풍족해도 욕망을 쫓다 보면 만족을 모르게 되는 것이 인간입니다 행복은 사람의 마음에 달렸습니다. 그러므로 죽을 때 "대단히 행복한 인생이었다."하고 고백할 수 있도록 마음을 가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아름다운 마음이 없이는 결코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부처는 욕망에 .. 삶의 지혜 2018.08.31
왕이라 해도 백성의 뜻을 거스르면 역성혁명도 가능합니다 왕이라 해도 백성의 뜻을 거스르면 역성혁명도 가능합니다 맹자(孟子)께서 제(齊)나라 선왕(宣王)에게 물었습니다. "왕의 신하 중에 자기의 처자를 보살펴 달라고 벗에게 부탁하고 타국에 가 있다가 돌아온 사람이 있다고 하십시다. 그 사람이 돌아와 본즉 자기의 처자가 굶주리고 있었다.. 삶의 지혜 2018.08.13
미혹(迷惑)은 깨달음으로 건지고 어리석음은 지혜로 건져야 합니다 미혹(迷惑)은 깨달음으로 건지고 어리석음은 지혜로 건져야 합니다 520년 경에 달마대사(達摩大師)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왔습니다. 달마대사(達摩大師)는 남인도 천축국(天竺國)의 왕자입니다. 달마대사(達摩大師)는 입적할 때 불법(佛法)을 혜가대사(彗可大師)에게 넘겨 주었습니다. 혜.. 삶의 지혜 2018.08.08
가장 뛰어난 사람은 가장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가장 뛰어난 사람은 가장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1903년 프랭크 넬슨 콜(Frank Nelson cole)이라는 학자가 세계적인 난제로 여겨지던 문제를 풀어내어 뉴욕에서 열린 수학학회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그가 이룬 성과에 대해 모두가 칭송했고, 누군가 큰소리로 그에게 외쳤다. "선생님은 제가 본 사.. 삶의 지혜 2018.07.16
세 번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쉽게 잘못을 저지르지 않습니다 세 번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쉽게 잘못을 저지르지 않습니다 어느 날 사자가 당나귀에게 말했습니다. "나는 힘이 세고 너는 빨리 달릴 수 있으니 함께 사냥을 해보면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당나귀는 잠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장점은 살리는 좋은 파.. 삶의 지혜 2018.07.13
위기와 변화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이 필요합니다 위기와 변화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이 필요합니다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에 조괄(趙括)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조괄(趙括)은 그 유명한 대장 조사(趙奢)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병법을 배워 병서를 읽고 병법을 논하기 시작하더니 곧 아버지를 뛰어.. 삶의 지혜 2018.07.04
시간이란 누구에게나 똑같이 부여되는 것 느끼기에 따라 길고 짧습니다 시간이란 누구에게나 똑같이 부여되는 것 느끼기에 따라 길고 짧습니다 한 철학자가 제자에게 물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긴 것이 무엇인지 아느냐?" 제자는 전혀 모르겠다는 얼굴로 고개를 저었습니다. "그럼 세상에서 가장 짧은 것은 무엇이겠느냐?" 그러자 제자는 이번에도 대답하지 .. 삶의 지혜 2018.06.29
세상은 입을 다물 줄 모르는 바보로 가득 차 있습니다 세상은 입을 다물 줄 모르는 바보로 가득 차 있습니다 공자(孔子)가 노(魯)나라 사구(司寇)가 되어 재상의 일을 맡아 볼 때의 일입니다. 사구(司寇)라 함은 형벌과 경찰을 맡아보던 관직을 말하는데 공자의 얼굴에 기뻐하는 빛이 있자 유(由)가 물었습니다. 유(由)는 공자(孔子)의 제자로서 .. 삶의 지혜 2018.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