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을 즐겨 하며 싫증내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낙선불권(樂善不倦)
맹자(孟子)의 고자(告子)편에 인성(人性)에 대한 맹자(孟子)와 고자(告子)의 대화를 기록하고 있는데 다음은 맹자(孟子)의 말이다.
有天爵者 有人爵者 하늘에서 내려주신 벼슬인 천작(天爵)과 사람이 수여한 벼슬인 인작(人爵)이라는 것이 있다. 仁義忠信 樂善不倦 此天爵也 어질고 의로우며 충성 과 신의 등 좋은 일을 즐겨 하며 싫증내지 않는 此天爵也 이것이 바로 천작(天爵)이다. 공경대부(公卿大夫)같은 벼슬 此人爵也 이것이 바로 인작(人爵)이다.
天爵者 德義可尊 自然之貴也 사람들이 천작(天爵)을 수양하면 인작(人爵)이 자연스럽게 따라왔다. 今之人修其天爵 以要人爵 요즘은 사람들이 천작(天爵)을 수양하여 인작(人爵)을 얻으려 하고, 旣得人爵 而棄其天爵 則惑之甚者也 인작(人爵)을 얻게 되면 천작(天爵)을 버리니 너무나 어리석도다. 終亦必亡而已矣 천작(天爵)을 버리면 결국 인작(人爵)마저도 잃게 된다.
귀하게 되고자 하는 것은 사람의
공통된 마음이다. 사실 사람마다 모두 자신에게 존귀한 부분이 있는데도 단지 이를 생각지 못할 뿐이다. 다른 사람이 만들어 준 존귀함은 결코 진정한 존귀함이 아니다. 조맹(趙孟)과 같은 고위 관리가 만들어 준 존귀함은 그가 또한 천하게 만들 수도 있다. 시경(詩經)에 『旣醉以酒 旣飽以德 이미 술에 취하였고 이미 덕에 배불렀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令聞廣譽施於身 所以不願人之文繡也 인의(仁義)에 배가 부르니 다른 사람의 고량진미(膏粱珍味)를 바라지 않고 좋은 소문과 명예를 널리 얻으니 다른 사람의 관복을 부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맹자(孟子)의 고자(告子)편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낙선불권(樂善不倦)이다.
낙선불권(樂善不倦)이란 어진 성품을 비유하는 말로 좋은 일을 즐겨 하며 싫증내지 않는다는 말이다. 선(善)을 즐기는 사람은 권태로움이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를 자랑함이 없이 속세의 티끝에 동화하라는 고사성어 화광동진(和光同塵) (0) | 2016.01.18 |
---|---|
말할 가치도 없는 하찮은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토양세류(土壤細流) (0) | 2016.01.15 |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받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한천작우(旱天作雨) (0) | 2016.01.08 |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 자신을 어지럽게 한다는 고사성어 용인자요(庸人自擾) (0) | 2015.12.30 |
식언을 많이 하는 사람을 빗댄 고사성어 식언이비(食言而肥) (0) | 2015.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