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사람들의 정서에 가깝지 않다는 고사성어 불근인정(不近人情)

박남량 narciso 2017. 5. 8. 13:30


 사람들의 정서에 가깝지 않다는 고사성어 불근인정(不近人情)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초(楚)나라에서 고을원을 맡고 있던 섭공(葉公)이 공자(孔子)에게 와서 아버지의 죄를 고발하고 증인으로 나선 정직한 아들이 있다고 자랑했다.

“우리 고장에 정직하게 처신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 아버지가 남의 양을 훔치자 관가에 가서 증거를 대며 고발했습니다”

칭찬하듯 말하는 섭공(葉公)의 이야기를 들은 공자(孔子)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 고장의 정직(正直)한 사람은 그와 다릅니다. 그런 일이 똑같이 일어난다면 아버지는 아들의 죄를 덮어주고 아들은 아버지의 죄를 덮어 줍니다. 정직(正直)이란 그 가운데에 있습니다”

섭공(葉公)은 법을 엄정하게 집행해 원리원칙에 충실한 사람이고, 공자(孔子)는 인정에 이끌려 법을 어기는 사람처럼 보인다. 공자(孔子)는 이 말 때문에 중국공산당 정권하에서 인정주의에 이끌린 사람이라고 비난을 받았다.

자기가 정직(正直)하게 보이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비밀을 폭로하거나 결점을 들춰내고 심지어는 자기 자신이나 부모형제를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다 정상적인 것이 아니다. 더군다나 아버지를 고발하는 정직(正直)은 정직(正直)으로서의 가치가 없다. 정직(正直)도 이치에 맞아야 하고 사람들의 정서에 맞아야 하는 것이다. 법이란 것도 원래 사람들이 사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제정된 것이라 인정에 바탕을 둔 것이다.

아버지를 고발하는 자식을 둔 가정이 옳은 가정이 되겠으며, 그런 자식이 다른 일인들 옳게 하겠는가? 아버지를 위한다면 관가에 달려가 고발할 것이 아니라, 아버지를 설득해 양을 주인에게 돌려주고 자신이 용서를 빌고 대신 죄를 받아야 하지 않겠는가?


논어(論語)에서 섭공(葉公)과 공자(孔子)의 대화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불근인정(不近人情)이다.

불근인정(不近人情)이란 인정(人情)에 가깝지 않다. 인정(人情)에 어그러지는 바가 있다. 사람들의 정서에 가깝지 않다는 뜻이다. 인정(人情)은 사람이 본디 가지고 있는 온갖 욕망, 남을 동정하는 마음씨, 세상 사람의 다사로운 마음을 뜻하는 말이다. <꽃사진: 란타나>